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원고의 심의, 제출, 구성

  • home
  • >  Journal  >
  • 원고의 심의, 제출, 구성

원고의 구성

원고는 원저, 종설, 서평 및 각 위원회 보고사항, 부록, letter to editor의 형태로 투고하며 각 형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원저
원저의 구성은 표지(title page), 영문초록(abstract) 및 색인(keywords), 서론(introduction), 대상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결과(results), 논의(discussion), 감사의 글(acknowledgement), 참고 문헌(references), 표(table), 그림 설명(legend), 그림(figure)의 순으로 구성하며, 각각 별도의 페이지에서 시작한다.
표지
표지에는 논문 제목, 모든 저자의 성명, 저자의 소속 기관, ORCID 번호를 기재한다. 제목은 논문의 목적을 간결하게 표현해야 되며, 연구 방법이 중요한 경우 부제목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글 제목은 40단어, 영문 제목은 20단어를 넘지 않아야 하며, 각 면의 머리글에 표기할 수 있도록 10단어 이내의 축약된 제목(running title)을 첨부해야 한다. 소속 기관이 다른 경우 해당 저자의 성명의 뒤에 위 첨자로 아라비아 숫자를 표시하고 소속 기관을 순서대로 표기한다. 표지 하단에 책임 저자의 성명, 우편번호, 주소, 전화번호, Fax 번호, E-mail 주소를 표기한다. 공시사항(연구비 지원, 학위논문), 이해상충(conflict of interest)여부에 대해 한글과 영문으로 기재한다. 또한, 저자들은 투고한 논문을 어디에도 게재하거나 투고하지 않았음을 명시해야 한다.
초록
초록은 영문으로 작성하며, 제목, 저자, 소속, 색인 용어를 제외하고 250단어 이내로 하고 구조화된 형식(purpose, methods, results, conclusion)으로 작성한다. 약어의 사용은 최소화한다. 초록에는 각주, 표, 참고문헌 등을 사용할 수 없다. 초록은 학회에서 위촉한 영문검토자(English Reviewer)가 검토하여 임의로 수정할 수 있다.
키워드
초록 하단에 색인 용어(key words) 3~5개를 첨부한다. Index Medicus의 Medical Subject Headings (MeSH)에 등재된 단어를 사용한다(http://www.ncbi.nlm.nih.gov/mesh).
본문
본문은 제목,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의 순으로 구성한다.
1) 서론: 서론은 논문의 목적과 가설을 기술하며, 연구 또는 관찰의 이론적 근거를 간결하고 명료하게 제시한다. 배경에 관한 기술은 목적과 연관이 있는 내용만 포함하며 본 논문에서 보고하는 연구결과나 결론은 넣지 않는다.
2) 연구 방법: 연구의 계획, 대상 선택 및 방법의 순서로 간결하면서 충분히 기술하며 통계 용어, 약어 및 대부분의 기호를 정의한다. 연구 방법은 구체적이고 자세히 기술해 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미 잘 확립된 연구 방법에 대해서는 참고 문헌을 기술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참고 문헌과 함께 내용을 간단히 기술한다. 새로운 또는 변형된 방법을 사용한 경우 그 방법을 사용한 이유와 한계점에 대해 기술한다. 통계는 자료를 가지고 결과를 증명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한 방법을 기술하여야 하며, 통계적 유의 수준을 명시해야 한다.
3) 연구 결과: 텍스트, 표 및 그림 등을 사용하여 연구 결과를 명료하게 서술한다. 본문에서는 표와 그림 내용의 중복 기술을 지양하고 중요한 요점만 강조한다.
4) 논의: 연구의 새롭고 중요한 관찰의 의미 및 제한점을 기술하되 결과에 이미 기술된 것을 중복 기술하지 않는다. 결과를 토대로 결론에 이르는 과정을 논리적으로 기술한다. 추측은 허용되지만 제시된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돼야 하고 충분한 근거가 있어야 한다.
5) 결론: 논의의 다음 부분에 결론을 기술한다.
6) 감사의 글: 이 연구에 기여를 한 사람 중 저자에 포함되기에는 부족한 사람(예: 순수한 기술적인 도움이나 본문 작성 지원, 일반적인 지원만을 제공한 부서장 등)에 대한 감사의 글을 넣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떤 역할에 대하여 감사하는지 확실히 표기하여야 하며, 저자는 그 사람에게 감사의 글에 이름이 나온다는 사실을 통보하고 사전에 동의를 받아야 한다. 또한 저자는 이러한 도움에 대하여 비용을 지불하였는지 공개해야 한다. 필요하면 연구비 사사를 기재할 수 있다.
7) 참고문헌
(1) 본문 내 문헌의 인용
본문 내 문헌을 인용할 경우에는 Citing Medicine: The NLM(National Library of Medicine) Style Guide for Authors, Editors, and Publishers 제2판(2007) (https://www.nlm.nih.gov/citingmedicine)을 참고로 한다.
문헌인용 순서에 따라 숫자를 본문에 ‘어깨번호’로 표시한다. 두 개의 문헌이 함께 인용되면 Lee2,9식으로 쉼표를 이용하고, 세 개 이상의 문헌이 함께 인용되면 Lee6-9 식으로 번호 사이에 하이픈을 사용한다.
본문 내에서 저자명을 쓸 때에는 1~2인인 경우에 저자명 모두 성을 영어로 기입하고 인용한 문헌 숫자를 ‘어깨번호’로 표시한다(예: Kim과 Lee9). 저자가 3인 이상인 경우에는 첫 번째 저자의 성만 기입한 후 ‘등’을 쓰고 인용한 문헌 ‘어깨번호’를 표시한다(예: Lee9, Kim 등9).
(2) 참고문헌 목록
본문에 인용된 문헌은 반드시 references 목록에 포함되어야 하며, 참고문헌은 본문번호 순서에 따라 나열한다. 참고문헌 목록에서의 표기는 NLM 형식(https://www.nlm.nih.gov/bsd/uniform_requirements.html)에 따라 표기한다. 단, 학술지인 경우는 단어마다 첫 자를 대문자로 표기하고 전체 학술지명을 쓴다. 각 참고문헌 서지사항 마지막에 DOI (Digital Object Identifier)를 기재한다.

☞ 참고문헌 목록에서의 예시
A. 학술지
저자명. 논문제목. 학술지명 약어. 발행년도;권:시작페이지-마지막 페이지. DOI 순으로 기재한다.
저자가 6인 이하인 경우
Won SJ, Chae YR. The effects of aromatherapy massage on pain, sleep, and stride length in the elderly with knee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1;13(2):142-148. https://dx.doi.org/10.7586/jkbns.2011.13.2.142
저자가 7인 이상인 경우
Lee KS, Jeong JS, Choe MA, Kim JH, An GJ, Kim JH, et al. Development of standard syllabuses for 4 subjects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 body, pathogenic microbiology, pathophysiology, mechanisms and effects of drug) of bionursing.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3;15(1):33-42. https://dx.doi.org/10.7586/jkbns.2013.15.1.33
출판 중인 학술지의 경우
Fujita K, Xia Z, Liu X, Mawatari M, Makimoto K. Lifestyl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sian patients with total hip arthroplasties. Nursing & Health Sciences. 2014. Forthcoming.

B. 저서
단행본
저자. 서명. 판차사항.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p. 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Han MC, Kim CW. Sectional human anatomy. 3rd ed. Seoul: Ilchokak; 1991. p.85-161.
단행본 내의 한 장(chapter)
장(chapter) 저자. 장 제목. In: 편저자, editor(s). 서명. 판차사항.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p. 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McCabe S. Psychopharmacology and other biologic treatments. In: Boyd MA, editor. Psychiatric nursing: Contemporary practice. 2nd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Williams and Wilkins; 2005. p. 124-138.
번역된 책
원저자. 번역서명. 판차사항. 역자. 출판도시: 출판사; 출판년도. 페이지. 순으로 기재한다.
Stuart G. Principles and practice of psychiatric nursing. 9th ed. Kim SS, Kim KH, Ko SH, translators. Philadelphia, PA: Mosby; 2008. p.520-522.

C. 연구보고서
저자. 보고서 제목. 보고서 유형. 출판도시: 기관명; 출판일. 보고서 번호. 순으로 한다.
Smith P, Golladay K. Payment for durable medical equipment billed during skilled nursing facility stays. Final report. Dallas (TX):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US), Office of Evaluation and Inspections; 1994 Oct. Report No.: HHSI-GOEI 69200860.

D. 학위논문
참고문헌 내 학위 논문 인용은 저자. 논문명〔학위유형. 출판지: 수여대학; 출판연도. 전체 페이지 p. 순으로 한다.
Choi YJ. A study of utilization of alternative complementary medicine by cancer patient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108 p.

E. 2차 자료에서의 인용
이차 자료는 일차 자료에서 인용되었음을 참고문헌에서 밝힌다.
Gordis E. Relapse and craving: A commentary. Alcohol Alert. 1989;6:3. Cited by Mason BJ, Kocsis JH, Ritvo EC, Cutler RB. A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of desipramine for primary alcohol dependence stratifi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jor depression, JAMA. 1996;275:761-767.

F. 학술회의나 심포지엄의 자료
구두 발표자료(Oral presentation)
저자. 발표제목. Paper presented at: 학술대회명; 연월일; 장소. 지명. 순으로 기재한다.
Lanktree C, Briere J. Early data on the trauma symptom checklist for childre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Professional Society on the Abuse of Children; 1991 Jan 23-25; San Diego, CA.
포스터 발표자료 (Poster Session)
저자. 발표제목. Poster session presented at: 학술대회명; 연월일; 장소. 지명. 순으로 기재한다.
Ruby J, Fulton C. Beyond redlining: Editing software that works. Poster session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Scholarly Publishing; 1993 Jun; Washington, DC.

G. 웹에서 인용
저자. 제목〔Internet〕. 출판도시: 출판사; 년도〔cited 인용 연도 날짜〕. Available from: URL. 순으로 기재한다.
Hooper JF. Psychiatry & the Law: Forensic Psychiatric Resource Page[Internet]. Tuscaloosa(AL): University of Alabama, Department of Psychiatry and Neurology; 1999 Jan 1 [cited 2007 Feb 23]. Available from: https://bama.ua.edu/~jhooper/.

8) 표, 그림
(1) 표/그림은 각각 별도의 페이지에 배치하며 영문으로 작성하고, 표와 그림의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표와 그림은 총 10개 이내를 원칙으로 한다.
(2) 표의 제목은 표의 상단에 위치하며, 중요 단어의 첫 자를 대문자로 한다. 예: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3) 표, 표 제목, 그림 제목 등의 줄 간격은 100% 혹은 single-space로 설정한다.
(4) 표에 사용한 약어는 모두 표의 하단 각주에서 설명한다.
예: BP, blood pressure; BT, body temperature.
(5) 표 각주는 다음의 기호(*, †, ‡, §, ∥, ¶, #, **, ††)를 순서대로 적용해 표시한다.
(6) 유의확률을 나타내는 p값은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기재한다(예: p=0.003). 만약, 값이 0.000으로 나올 경우에는 p<0.001로 기술한다. 단, 꼭 필요한 경우 p값을 소수점 이하 4자리까지 기재할 수 있다. 만약 각주를 사용해 p값을 표시해야 할 경우에는 *, **를 사용한다(예: *p≤0.05, **p<0.01).
(7) 백분율(%)은 소수점 한자리까지 기술하고, t, F, x2, r 등의 모든 통계량은 소수점 두 자리까지 기술한다.
(8) 그림 제목은 그림의 하단에 위치하며, 첫 자만 대문자로 한다.
예: Fig 1. Weekly body weight gain.
(9) 동일번호에서 2개 이상의 그림인 경우, 아라비아 숫자 이후에 알파벳 글자를 기입하여 표시한다(예: Fig. 1A, Fig 1B).

9) 단위 및 약어
약어를 최소한으로 사용한다. 본문에 약자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용어가 처음 나올 때 괄호 안에 약어를 함께 표기하고 다음부터 약어를 사용할 수 있다. 초록 또한 여러 번 언급된 용어에 대한 약어를 포함할 수 있다. 논문 제목에서는 약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길이, 키, 무게, 부피 측정은 미터법(미터, 킬로그램, 리터 또는 십진법 배수)을 따르며 온도는 섭씨로 표기하여야 한다. 단위는 %, °C를 제외하고는 한 칸씩 띄운다.

2. 종설
종설은 특정 주제에 초점을 맞춘 고찰로 간행위원회의 결정을 거쳐 간행위원장이 요청한다. 제출된 종설은 심사과정을 거친다. 종설은 표지(축약된 제목[running title] 포함), 초록(비구조화, 250자 이내), 키워드, 결론을 포함한 본문, 참고 문헌, 표 및 그림이 포함돼야 한다.

3. 논평
JKIRB에 게재되는 논문과 관련된 내용을 간행위원회의 결정 또는 간행위원장이 의뢰한다. 전체 길이는 한글 1,500단어로 제한하며, 참고 문헌은 20개 이내로 제한한다.

4. 서평, 각 위원회 보고사항
서술식의 비규정된(unstructured) 형식으로 한다.

5. 부록
부록은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일련의 원고를 모은 것으로 해당 권 내의 개별 호나 정규 호의 일부분으로 발행할 수 있다. 부록의 발행은 학회의 요구와 간행위원회의 필요성에 의해 고려되며, 발행 여부는 간행위원회 회의를 통해 결정한다. 부록의 원고에도 본 투고 규정과 동일한 원칙이 적용된다.

6. Letter to the Editor
JKIRB에 최근 출판된 논문과 관련된 것으로 원고의 수준과 잡지의 지면을 고려해 간행위원장이 심사하고 승인한다. 원고는 간결해야 하며 길이는 한글 500단어 이내, 참고 문헌은 7개 이내로 제한다. 제목, 비구조화 본문과 참고 문헌으로 구성된다. 한 개의 표 또는 그림을 허용한다.

7. 교정지
원고의 게재가 확정되면 최종 교정을 위하여 책임 또는 제1저자에게 인쇄 교정지가 PDF 파일로 발송되며 이후 수정은 최소화하여야 한다. 48시간 이내에 변경 사항을 이메일이나 팩스로 JKIRB 간행위원회에 회신하여야 하며 필요시 간행위원회에서 교신저자에게 연락할 수 있다. 48시간 이내에 회신하지 않을 경우 개제가 다음호로 연기될 수 있다.

인공지능 보조기술의 공개
원고 작성시 인공지능(AI) 보조 기술(예: 대형 언어 모델, 챗봇, 이미지 생성기)을 사용한 경우, 저자는 AI 사용 방식을 cover letter와 해당 작업 모두에 공개해야 한다. 저자는 AI가 생성한 모든 내용의 과학적 진실성에 대해 책임을 진다. 저자는 AI 보조 기술을 저자나 공동 저자로 기재해서는 안 되며, AI를 저자로 인용해서도 안 된다. AI 보조 여부를 충분히 공개하지 않은 모든 제출물이나 출판물은 검토에서 제외되거나 철회될 수 있다.

위로 이동